2025년 장애수당·장애아동수당 완벽정리: 지원대상, 신청방법, 소득기준까지 한눈에!

2025년 장애수당·장애아동수당, 정확히 알고 꼭 챙기세요!

장애인 복지제도는 종류가 많고 기준이 복잡해 보이지만, 실제로는 내가 해당될 수도 있는 중요한 지원제도입니다. 특히 장애수당장애아동수당경제적으로 어려운 장애인 또는 장애아동 가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수당입니다.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이 두 제도를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드릴게요.

📌 장애수당 vs 장애아동수당, 뭐가 다를까요?

구분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
대상 만 18세 이상 등록장애인 중 경증장애인 만 18세 미만 등록장애아동
지급 대상 조건 기초생활보장 생계·의료·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동일
제외 대상 장애인연금 수급자 장애인연금 수급자

👉 장애인연금 대상자(중증장애인)는 중복지급이 되지 않으므로 제외됩니다.

👩‍👧‍👦 자격 기준 자세히 살펴보기

  1. 장애수당

    • 만 18세 이상

    • 경증장애인 (장애등급 3~6급 또는 중복이 아닌 경우)

    •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

    • 단, 생일이 있는 달에 신청해도 만 18세로 간주됨

  2. 장애아동수당

    • 만 18세 미만의 등록장애아동

    • 학교 재학 중인 아동도 포함 (유치원, 초·중·고등학생)

    • 동일하게 수급자 요건 충족 시 가능

💰 지급 금액 (2025년 기준)

수급자 유형 중증장애인 경증장애인
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 (성인) - 월 6만원
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(성인) - 월 6만원
보장시설 수급자 (성인) - 월 3만원
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 (아동) 월 22만원 월 11만원
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 (아동) 월 17만원 월 17만원
보장시설 입소자 (아동) 월 9만원 월 3만원

※ 중증장애인 기준: 장애인연금법상 중증 (기존 1급~2급 또는 3급 중복)

📏 소득인정 기준은 어떻게 계산할까?

  • 기준: 중위소득 50% 이하  

   중위소득 계산기에서 금액 확인하기 👆  
  • 소득인정액 = 실제 소득 + 재산의 소득환산액

    • 예시 환산율:

      • 금융재산: 6.26%

      • 부동산: 1.04%

      • 자동차: 100%

  • 재산 기준 예시

    • 대도시: 9,000만 원 이하

    • 중소도시: 7,700만 원 이하

    • 농어촌: 5,300만 원 이하

🔎 소득·재산 계산은 주민센터에서 도와줍니다. 부담 갖지 말고 꼭 문의해보세요!

📄 신청 방법 및 제출 서류

📍 신청처

  • 거주지 관할 읍·면·동 주민센터

  • 또는 복지로(www.bokjiro.go.kr) 온라인 신청 가능  

📋 제출 서류

  • 신분증

  • 장애인등록증

  • 가족관계증명서

  • 소득 및 재산 관련 서류 (필요 시)

⏰ 처리 기간

  • 평균 1~2개월 이내 지급 개시

  • 매월 말 또는 익월 초 수당 입금

    📣 꼭 알아두세요!

    • 장애인연금 수급자는 중복 수급 불가

    • 기초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여부 확인 필요

    • 생일이 지난 후 신청하면 연령 기준에서 탈락할 수 있음

    • 소득과 재산은 합산되므로 반드시 주민센터 상담 권장

    • 모의 계산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가능

      마무리하며

      복지는 '나와 상관없는 이야기'가 아니라 지금 당장 받을 수 있는 권리일 수 있습니다. 단지 모르고 지나치기 때문에 놓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. 혹시 내 가족이 해당될 수 있을지, 한 번만 더 체크해보세요. 당신의 말 한마디가 복지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.